한류스타 리포트 '한류기획 1편' 입니다. 최근 1~2년 사이에 한류는 다시 중국에서 꽃피고 있다. 그 가운데서 케이팝으로 불리는 한국 대중음악 역시 크게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. 국내 많은 가수들이 현지에 진출해서 케이팝을 확산시키고 있는데요. 중국의 케이팝, 그 어제와 오늘을 스포츠동아 윤여수 기자와 함께 살펴 보겠습니다<br /><br /><br />Q) 최근 중국에서 눈에 띄는 성장세를 과시하고 있는 두 아이돌 그룹이 있다. 바로 비스트와 포미닛이다. 우선 비스트가 최근 중국에서 첫 팬미팅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.<br /><br />A) 비스트가 지난 4월25일 중국 상하이의 상하이대무대에서 대규모 팬미팅 행사 비스트 팬미팅 인 상하이를 열었다. 2009년 데뷔 이후 6년 만의 첫 중국 팬미팅이었다. 비스트는 이번 팬미팅 무대에서 중국 현지의 4천여 팬들을 만났다. 사실 이번 비스트의 팬미팅은 이들이 그동안 중국에서 단독으로 활동한 적이 없었다는 점에서 다소 이례적이기도 하다. 하지만 또 그만큼 이들의 미래 가능성이 밝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. 비스트는 이번 팬미팅 무대에서 자신들의 히트곡을 중심으로 다양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. 지난해 인기곡 [굿럭]을 비롯해서 [12시 30분], [섀도우] 등을 부르면서 약 1시간30분여 동안 4천여 현지 팬들과 함께했다. 이들은 무대에서 비스트는 앞으로 다양한 중국 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선언했다. <br /><br />Q) 실제로 비스트는 이달 말 홍콩에서 단독 콘서트를 펼칠 예정이다.<br /><br />A) 비스트는 오는 30일 홍콩아시아월드아레나에서 첫 번째 단독콘서트 무대를 열 계획이다. 뷰티풀 쇼 인 홍콩이라는 타이틀의 공연이다. 비스트는 이번 무대를 통해서 약 8천여명의 현지 팬들을 만날 예정이다. 비스트는 이번 홍콩 콘서트에서 자신들이 지나온 6년의 흔적을 고스란히 현지 팬들에게 선사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. <br /><br />Q) 걸그룹 포미닛의 기세도 못지 않다. 포미닛은 최근 중국의 음악시상식에서 열정적인 무대를 선보였다.<br /><br />A) 중국 주요 음악 시상식 가운데 하나로 인정받고 있는 QQ 뮤직어워드 무대였다. 포미닛은 3월25일 중국 선전에서 열린 QQ뮤직어워드에 한국 대표 아티스트로 등장했다. 이날 시상식은 현장에서만 7천여명의 관객이 자리했는데...QQ뮤직은 약 8억명이 이용하는 중국 최대 음원사이트라고 할 수 있다. 그만큼 이날 시상식 역시 권위와 규모를 인정받고 있는 무대인데...포미닛은 미니 6집 타이틀곡 [미쳐]와 [이름이 뭐예요?] 등의 퍼포먼스로 관객의 환호를 받았다. [미쳐]는 현재 QQ뮤직의 한국음악 부문 주간 앨범차트에서 무려 10주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...포미닛의 중국 현지 인기의 기반이 된 곡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. <br /><br />Q) 최근 가장 눈에 띄는 활약을 펼친 두 아이돌 그룹을 살펴봤는데...최근에는 또 한국 발라드 가수들의 인기도 오르고 있다.<br /><br />A) 대표적인 주자가 바로 국제가수로 불리는 싸이다. 싸이는 최근 자신의 노래 [아버지]를 중국어로 번안해서 다시 불렀다. 이를 QQ뮤직을 통해서 공개하고 일주일동안 스트리밍수의 변화폭을 통계 내 발표하는 유행지수차트에서 최근 1위를 차지했다. [아버지]는 싸이가 2005년 국내에서 발표한 미디엄 템포 발라드곡으로,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많은 아버지들을 위로하는 메시지를 담은 노래이다. 가수 더원은 중국 후난위성TV가 방송하는 [나는 가수다]의 3월 시즌3에서 최종 3인이 겨루는 ‘가왕전’까지 올라 3위를 차지하면서 인기를 모으고 있다. 또 지난해 드라마 [별에서 온 그대]가 폭발적인 인기를 모으면서 중국에 다시 한류열풍이 불어닥친 이후 드라마의 삽입곡을 부른 가수 린 역시 새롭게 주목받고 있기도 하다. 또 백지영과 김종국, 바이브와 포맨 등에 대한 관심도 높아가고 있다. <br /><br />Q) 이처럼 한국가수들의 발라드곡이나 발라드를 주 무기로 삼는 가수들이 점점 중국 현지 팬들을 사로잡고 있는데...그 인기 요인은 뭘까.<br /><br />A) 뛰어난 가창력과 섬세한 감정 표현이 현지인들에게 다가간다는 평가이다. 또 중국 현지의 전통적인 인기 장르가 바로 발라드 음악이고 동양문화권에 놓인 한국과 중국의 정서가 비슷하다는 점도 그 배경이 되고 있다.